REST REST란 URI와 HTTP메소드를 이용해 객체화된 서비스에 접근하는것 자원을 이름으로 구분하여 해당 자원의 상태를 주고받는 모...
HTTP GET POST 차이 HTTP HTTP는 웹상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에 요청/응답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이다. GET 방식 GET방식은 ...
Session과 Cookie의 차이와 동작원리 쿠키(Cookie) 쿠키는 서버가 사용자의 웹 브라우저 저장하는 데이터이다. 쿠키는 key...
DNS 동작원리 DHCP 프로토콜로 IP 주소를 할당 받으면서 DNS서버 IP주소를 받는다.(보통 2개를 받는다, Primary DNS서버가 죽었을때 Second...
HTTP vs HTTPS HTTP란? TCP/IP 4계층 에서 애플리케이션 계층에 해당하는 프로토콜로 전송계층에서 TCP를 이용해서 웹브라우저와 웹서버간에 통신하는 프로토콜...
TCP 3-way-handshake 3-way-handshake란 tcp 3-way-handshake는 TCP/IP프로토콜을 이용해서 통신을 하는 응용프로그램이 데이터...
OSI 7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는 동일 계층 간에 교환되는 정보의 단위이다. 물리계층 : 비트 데이터 ...
TCP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메세지 형태로 보내기 위해 IP와 함께 사용하는 프로토콜 연결형 서비스로 가상 회선 방식을 제공한다 .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