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2 May 2020

OSI 7계층

OSI 7계층


프로토콜 데이터 단위

프로토콜 데이터 단위는 동일 계층 간에 교환되는 정보의 단위이다.

  • 물리계층 : 비트

  • 데이터 링크 계층 : 프레임

  • 네트워크 계층 : 패킷

  • 전송계층 : 세그먼트

  • 세션,표현,응용 계층 : 메세지


1. 물리계층 : 전기적,기계적특성을 바탕으로 비트흐름을 전달한다.

케이블,리피터,허브

  • 허브

    • 더미 허브

      • 네트워크에 흐르는 모든 데이터를 단순히 연결하는 기능만 제공

      • LAN이 보유한 대역폭을 컴퓨터 수만큼 나누어 제공

    • 스위칭 허브

      • 네트워크상에 흐르는 데이터의 유무 및 흐름을 제어하여 각각의 노드가 허브의

        최대 대역폭을 사용할 수 있게하는 지능형 허브이다.


2. 데이터 링크 계층 : 두 개의 인접한 개방 시스템들 간에 신뢰성 있고 효율적인 정보전송을

할 수 있도록 한다. 또한 물리계층에서 전달된 프레임에서 오류를 찾고 재전송을 요구한다.

  • 흐름 제어

  • 프레임 동기화

  • 오류 제어

  • 순서 제어

랜카드,브리지,스위치

  • 브리지

    • LAN과 LAN을 연결하거나 LAN안에서 컴퓨터그룹을 연결하는기능을 한다

      • 데이터 링크 계층중 MAC계층에서 사용된다.

      • 트래픽 병목현상을 줄일 수 있다.

      • 네트워크를 분산적으로 구성할 수 있어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.

  • 스위치

    • LAN과 LAN을 연결하여 더큰 LAN을 만드는 장치

      • 하드웨어를 기반으로 처리하여 전송 속도가 빠르다.

      • 포트마다 각기 다른 전송 속도를 지원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수백개의 포트를 제공한다.

      • OSI참조 모델의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사용한다.


3. 네트워크 계층 : 네트워크 연결을 관리하는 기능과 데이터의 교환및 중계기능을 한다.

  •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,유지,해제하는 기능을 한다

  • 경로 설정(routing) 트래픽 제어 ,패킷정보 전송

라우터

  • 라우터

    • 브리지와 같이 LAN과 LAN연결기능에 + 데이터 전송의 최적경로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 추가됨, 서로다른 LAN이나 LAN

      과WAN의 연결도 수행한다.

    • OSI참조 모델의 네트워크 계층에서 동작

    • 접속가능한 경로에 대한 정보를 Roution table에 저장하여 보관

    • 3계층 까지의 프로토콜 구조가 다른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위해 프로토콜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.


4. 전송 계층 : 전송계층은 논리적 안정과 균일한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종단 시스템

간에 투명한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.

  • OSI 7계층중 하위 3계층과 상위 3계층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한다.

  • 종단 시스템 간의 전송 연결 설정, 데이터 전송,연결해제 기능을 한다.

  • 주소 설정, 다중화(분할 및 재조립), 오류 제어, 흐름 제어를 수행한다.

  • TCP,UDP등의 표준이 된다.

게이트웨이

  • 게이트웨이

    • 전 계층(1~7)의 프로토콜 구조가 다른 네트워크의 연결을 수행한다.

      • 세션 계층, 표현 계층, 응용 계층 간을 연결하여 데이터 형식 변환,주소 변환,

        프로토콜 변환 등을 수행한다.

      • LAN에서 다른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보내거나 다른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받아들이는

        출입구 역할을 한다.


5. 세션 계층 : 송 수신 측 간의 관련성을 유지하고 대화 제어를 담당한다.

  • 송 수신 측 간의 대화 동기를 위해 전송하는 정보의 일정한 부분에 체크점을 두어 정보의

  • 수신 상태를 체크하며, 이때의 체크점을 동기점이라고 한다.

  • 동기점은 오류가 있는 데이터의 회복을 위해 사용하는 것이다.


6. 표현 계층 : 표현 계층은 응용계층으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세션 계층에 보내기 전에

통신에 적당한 형태로 변환한다.

세션 계층에서 받은 데이터는 응용계층에 맞게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.

  • 서로 다른 데이터 표현 형태를 갖는 시스템 간의 상호 접속을 위해 필요한 계층이다.

  • 코드 변환, 데이터 암호화, 데이터 압축, 구문 검색, 정보 형식 변환, 문맥관리기능이 있다.


7. 응용 계층 : 사용자가 OSI 환경에 접근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한다.

  • 응용 프로세스 간의 정보 교환, 파일 전송, 가상 터미널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.


OSI 7계층을 나눈 이유

  •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단계별로 알 수 있기 때문이다.

  • 복잡한 시스템을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구분이 가능하다.

  • 7단계 중 특정한 곳이 이상이 생기면 다른 단계의 장비 및 소프트웨어를 건들이지 않고도 ### 이상이 생긴 단계만 고칠 수 있기 때문이다.


Tags:
0 comments